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PT)/PT기본4

대상작용(Compensation), 보상작용(Substitution) 차이 운동치료에서 보상작용(compensation)과 대상작용(substitution)에 대해서 들어봤을 것이다.얼핏 비슷한 단어 같아서 혼용해서 많이 쓰는 것 같은데 차이점이 존재한다. 보상작용(compensation)보상작용은 우리가 힘이 없거나 부족할 때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근육 그룹이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환자가 특정 기능이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없거나 힘이 들 때, 반사적으로 다른 부분에서 힘이 들어오는 개념이다.예를 들어) 팔을 들어 올려보라 했을 때 팔을 드는 충분한 힘이 없으면, 어깨를 들어 올려서 팔을 들어 올리려고 한다. 이를 보상작용이라 보면 된다. 타깃 근육에 정확한 힘을 내기 위해서는 이 보상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환경을 설정해야 될 것이다. 대상작용(substituti.. 2024. 7. 27.
생체역학(Biomechanics)이란?? 생체역학(Biomechanics)이란?? 1. 역학(mechanics) - 역학이란 물리적 개체가 외부 힘이나 서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위치나 속도 등의 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과학의 한 영역이다. 2. 생체역학(biomechanics) - 생체역학(biomechanics)은 생체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역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학문 분야로서, 생물체를 뜻하는 Bio(生體)와 힘과 운동을 다루는 물리학(physics)의 한 분야인 Mechanics(力學)가 혼합된 용어이다. 즉, 생체역학은 모든 생물체의 운동과 그 운동을 일으키는 힘을 다루는 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생체역학은 가속도, 길이, 관성, 질량 등의 기본적인 단위들이 사용되며 뉴턴의 운동 법칙을 기초로 하여 인체의 해부.. 2021. 9. 27.
Symptom(증상), Sign(징후), Syndrome(증후군)의 정의 및 차이 Symptom(증상), Sign(징후), Syndrome(증후군)의 정의 및 차이 임상에서 보통 이 3가지 용어를 헷갈려하거나 혼동해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제대로 개념 정리를 할 필요가 있다. 항상 강조하지만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 1. Symptom(증상) : 병적 상태를 스스로 느끼는 상태. 주관적인 Feel ex) 여러 통증,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 2. Sign(징후) : 병적 상태가 겉으로 나타나거나 보이는 경우. 객관적인 Show ex) vital sign, tinel sign, toe sign, 발열, 출혈, 발작 등 3. Syndrome(증후군) : 어떤 공통성 있는 일련의 병적 징후를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것. 이때의 증후는 증상과 징후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ex) Rotaror cuff.. 2021. 9. 21.
뼈, 뇌, 척수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뼈, 뇌, 척수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1) 뼈의 표면은 골막(periosteum)으로 둘러싸여 있고, 여기에는 혈관과 통증을 느끼는 많은 신경섬유가 분포되어 있다. 하지만 치밀골(compact bone)과 해면골(sponge bone)에는 통증수용기가 없기 때문에 뼈 자체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즉, 뼈가 부러지면 골막의 자극으로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이것은 연골도 마찬가지다. 2) 뇌를 구성하는 것은 신경세포(뉴런)와 신경섬유이다. 뇌는 두부같이 부드러우며 뇌막(meninges)이 감싸고 있는데, 바깥쪽부터 경막(dura mater) >지주막(arachnoid=거미막) > 연막(pia mater) 3개 층이 감싸고 있으며, 이를 단단한 두개골(skull)이 보호하고 있다. 3) 척수 역시 이 3개.. 2021.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