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PT)35 Back knee(빽니, 반장슬, 전반슬) Back knee(반장슬, 전반슬) = Genu Recurvatum 오늘은 Back knee(반장슬, 전반슬)에 대해서 알아보자. 의학용어로 빽니를 Genu Recurvatum 또는 Knee hyperextension이라 하는데,라틴어로 Genu는 '무릎'이라는 뜻이며, Recurvatum은 '굽은, 뒤돌다'라는 뜻이다.즉, 무릎이 뒤로 굽어있다 정도의 뜻이 되겠다. 빽니, 그러니까 반장슬(전반슬)은 무릎을 폈을 시 정상가동범위보다 약 10도 정도 더 과신전 된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옆에서 보면 무릎이 뒤로 빠진 것 같이 보인다.이런 반장슬이 오랫동안 유지되면서 보행을 할 경우 퇴행성관절염 같은 여러 무릎 질환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세까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럼 반장슬은 왜 생기는 걸까? 우리 .. 2020. 9. 4.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과 허리디스크의 차이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의 차이 요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나도 가끔씩 허리가 아프다. 엑스레이 촬영을 하면 나의 목과 허리는 일자로 나온다. 그렇다 해도 통증이 없으면 괜찮은데 결국 나이가 들면 통증이 생기게 될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보통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하는 디스크가 생겨서 아픈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디스크와 헷갈리게 만드는 병인이 또 있다. 바로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이다. 척추관 협착증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서 척추 중앙의 척주관(spinal canal), 신경 뿌리관(nerve root canal), 또는 척추사이구멍(intervertebral foramen)이 좁아져서 신경 뿌리(nerve root)를 압박하는 질환을 말한다. 나이가 들수록 증가.. 2020. 9. 2. 자세교정, 체형교정에 대한 고찰 체형교정에 대한 고찰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시절에는 바른 자세라고 하면 척추에 곡선이 없고 딱 일자여야만 된다고 어렴풋이 생각했었다. 그리고 기억은 안 나지만 언제부터인가 척추에 곡선이 있어야 정상이라는 것을 알기 시작했을 때 내 머릿속은 살짝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난다. 우리 몸의 척추는 크게 경추(목뼈), 흉추(등뼈), 요추(허리뼈), 천추(엉치뼈), 미추(꼬리뼈)로 나뉘는데, 여기에서 커브(curve)는 경추, 흉추, 요추 이 3군데에서 만곡이 나타난다(커브를 만곡이라 한다). 지금이야 정보의 홍수 시대라서 이 정도는 어린이들도 알고 있는 상식일 것이다. 물론 만곡이 없으면 해부학적으로 비정상이지만, 만곡이 있다고 다 정상은 아니다. 만곡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다면 과만곡이 되어 그것 역시 자세 문제를.. 2020. 8. 1. 운동조절(Motor Control) Motor Control 1. 운동조절을 연구하는 이유와 정의 예전의 치료사들은 움직임의 신경조절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움직임패턴(movement pattern)이나 운동행위(motor development)가 학습되는지, 그리고 건강한 이들의 운동행위가 생애에 걸쳐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알고 싶어하며, 중재 이후에는 신경가소성 이론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것을 알고자 했다. 전형적인 운동행위에 대한 틀을 잡기 위해서는 신경학적 기능 장애를 가진 이들의 운동행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신경계 가변성이 변화를 만드는데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한편 치료사는 기능적 운동장애를 일으키는 운동조절 문제가 있는 환자를 재훈련하는 데에 상당히 많은 시간을 보내며, 움직임 장애의.. 2020. 7. 31. 마비의 분류, 마비의 종류 마비의 분류, 마비의 종류 신경계 공부를 하다 보면 마비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는데, 그 단어가 영어로는 다양한 형태로 쓰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그 쓰임이 헷갈리기도 하는데 오늘은 그것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1. Paralysis, plegia, palsy(완전마비) 1) 사전적 의미 : Paralysis is a loss of muscle function in one or more muscles. 2)어원 Para = Beside Lysis = Loosen Palsy = wind(바람) 3) 해석 즉, Paralysis는 감각 기능의 저하와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근육에서 근육 기능의 상실을 나타낸다. 또한 palsy는 어원적으로 바람이라는 뜻이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뇌졸중(.. 2020. 7. 28.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차이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차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한다.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어떻게 다른가? 그 차이점을 잘 모르는 분들이 계시는데 분명히 두 직업에는 차이점이 있다. 물리치료는 영어로 Physical Therapy, 줄여서 PT라고 하며 작업치료는 영어로 Occupational Therapy, 줄여서 OT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PT라고 하면 Personal Trainer를 생각하는데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PT의 원조는 Physical Therapist이다. 자 그럼 PT와 OT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아보자. 첫째, 일단 학과가 다르다. 물리치료사가 되려면 물리치료학과, 작업치료사는 작업치료학과를 졸업해야된다. 둘째, 보건복지부에서 나오는 면허가 다르다. 국가고시에 합격하게 되면 물리.. 2020. 7. 28. X 다리(Genu Valgum, Knock knee, 외반슬) 정확하게 무엇인가? Genu Valgum(Knock knee)= 외반슬(X다리) 항상 길을 걸을 때면 사람들의 체형을 유심히 보는 게 습관이 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직업병임) 가만히 보면 'X다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굉장히 많다. 남자도 많지만 특히 여성분들에게 많이 보인다. 아니면 나도 모르게 여성만 봐서 그런가 싶지만 어쨌든, 유독 여성에게서 그런 체형이 많이 보이는데 그 원인이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아무래도 남자들은 예전부터 다리를 벌려야 뭔가 남성답다는 인식 즉, 쩍벌남(?)에 대한 통념으로 인해, 여성은 다리를 벌리면 안 되고 조신해야 된다는 사회 인식으로 자꾸 다리를 오므리게 되다 보니 그렇게 된 게 아닌가 하는 망상일 수도 있을 것 같은 생각을 해본다. ‘X다리’를 전문용어로 Genu Valgum이라고 .. 2020. 7. 13. 목이 삐었을 때, 담 걸렸을 때 원인과 해결 방법 목이 안 돌아가요 자고 일어났는데 갑자기 목이 안 돌아갈 때, 또는 어떤 동작을 하고 난 뒤에 목이 안 돌아가는 경우 다들 한 번씩 있으리라 본다. 우리는 이럴 때 보통 목을 삐었다 또는, 어깨에 담이 걸렸다고 하는데 대부분 정확히 어디가 아픈지는 잘 모르겠는데, 어쨌든 목 어깨 주변 어딘가가 아프다고 한다. 자, 그럼 어디에 문제가 생긴 걸까? 이런 경우 대부분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이라는 근육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견갑거근은 목뼈와 날개뼈(견갑골)에 붙어 있는 근육이다. 견갑거근은 말 그대로 견갑골 즉, 날개뼈를 들어 올리거나 목을 회전 시키는 동작을 한다. 견갑거근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목, 어깨뿐만 아니라 심하면 두통까지 올 수 있어 가만히 놔두게 되면 일.. 2020. 4. 22. 이전 1 2 3 4 다음